◆ 파일 관리
디렉토리 ┌ 작업 ┌홈 ~ 표시가 나옴 (다른 디렉토리에서 홈으로 이동할떄 #cd ~)
│ │
└ 워킹
□ 폴더 생성
mkdir -p
□ 파일 찾기
ls - a (모든 파일 보기)
□ 파일 복사하기
cp a b
: a(파일) : 특정명령 없을시 파일, 특정 명령이없을시 파일이 될수 있고 폴더가 될수 있다.
□ 파일 지울때
rm a 하면 지울것인가 메시지가 나옴
rm -f a 하면 강제로 삭제
rm -rf * 폴더 안에 모든 파일이 삭제됨
아니면 루트 디렉토리에서 vi .bashrc 실행하면 rm -i 가 있는데 -i를 -f로 고치면 메시지가 안나오고
강제로 삭제 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◆ minicom 환경설정시 맨처음에 설정해야 하는것 .
1. 전송률 bps 맞춰주어야 함.
2. 포트 설정 (COM1, USB0 ...)
호스트 (서버)-리눅스 target(클라이언트)-EMPOSⅡ
- 프로그램을 컴파일 한다. - 컴파일한 파일을 실행
: target의 cpu 맞게 컴파일러 함
□ 서버와 클라이언트 끼리 연결하기 위한 방법
1. 모뎀(Modem)
- Z-Modem
2. 이더넷
- FTP
- NFS
※ Z-Modem , FTP 사용시 문제점 : 사용하기가 번거롭다 .
NFS : 디렉토리를 공유 함.
◆ NFS 설정
□ Network 서버 방식에는 stardalone(httd, nfs,network 사용), inet(bootp, tftp 사용) 있으며, stardalone은
우리가 일상 사용하는 http프로토콜을 생각하면 된다. 메모리에 상주되어 있다는 점이다.
int방식은 대기자가 있어가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요청하면 그 요청한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한후
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방식이다.
□ 서버를 실행하기 윈한 명령어
# service xinetd restart (start, stop 등 명령어가 있다. ) - inet 실행
# service httpd " - httpd 실행
# service nfs " - nfs 실행
◆ Ethernet IP 변경하기
우리는 리눅스와 EMPOSⅡ와 연결하기 위해 다이렉트 방식으로 연결하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도메인은
같아야 접속이 가능하다.
-> 0.0.0.0 일때 0.0.0 => 도메인 마지막 .0 은 컴퓨터
□ 호스트 (서버) - 192.168.1.100 -리눅스
□ target(클라이언트) - 192.1681.200 - EMPOSⅡ
□ IP 할당하는 방법
1. netconfig : 하드에 씀 , 리부트하면 지워지지 않음
2. ifconfig : 메모리에 씀, 리부트하면 기본값으로 변경
# → host(리눅스) , $ → target(EMPOSⅡ)
□ 현재 리눅스 상태의 ip확인
터미널 열기 한후 → # ipconfig → 아이피 확인
□ ipconfig으로 아이피 변경하기
# ipconfig eth0 192.168.1.30
# ipconfig 으로 변경된 아이피 확인
□ netconfig 으로 아이피 변경하기
#netconfig → 네트워크 설정 → 아이피랑, 서브넷 마스크 할당, 나머지 기본게이트와 DNS 삭제
아이피 : 192.168.1.100 서브넷 마스크 : 255.255.255.0
- 다시 네트워크 재시작
#service network restart
◆ 공유 폴더 설정
□ 공유 폴더 정의
/etc/exports에 정의 해야함
#vi /etc/exports
키보드로 I키 누른다음
/mywork 192.168.1.* (rw.sync) 입력후 저장한후 나옴
192.168.1.* => 192.168.1의 도메인 모든 부분을 사용한다.는 의미
(rw.sync) => 접근 권한
□ 공유 폴더 만들기
#mkdir /mywork
◆ 방화벽 없애기
터미널 열기 → #setup → 시스템 서비스 → ip6tables, iptables 체크 해제 → 리부팅
□ 프로세스 죽이기 방법
- kill, reboot
□ 리눅스 재시작 및 종료
- #reboot
- #halt
리눅스를 재부팅한후
◆ NFS 서비스 시작
□ 시작하기
서비스를 시작 할려면 setup 명령으로 해서 서비스를 시작 할 수 있으나 부팅 속도가 느려질 수가 있으므로
다른 명령어 사용
#service nfs restart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◆ EMPOSⅡ 터미널 접속
□ 접속
#minicom → EMPOSⅡ 장비에서 리셋을 누르면 접속이 된다.
접속이 되면 $ 표시가 나온다 .
□ 서버에 공유한 폴더로 접속하기 (마운트하기)
$mount 192.168.1.100:/mywork /mnt 실행하면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 잘못 설정한 것이고 에러없이 바로
$표시가 나오면 정상임.
□ 서버가 살아 있나 검색 하기 위해
$ping 192.168.1.100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◆ 간단한 프로그램 실행
□ 서버
서버 터미널 창에서 공유 폴더 이동 #cd .. → # cd mywork 폴더 이동
#vi test.c 실행하여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한다음 저장한후 → 컴파일을 한다.
클라이언트 사양에 맞춰서 함. (cross 컴파일 )
#arm - linux-gcc -o sum test.c 실행
컴파일 한후 클라이언트 터미널 창 활성화 한후
□ 클라이언트
공유한 폴더로 이동
$cd.. → $cd mnt → $ls 한후 파일이 있나 확인 $./sum 실행하면 결과 값이 나온다.
디렉토리 ┌ 작업 ┌홈 ~ 표시가 나옴 (다른 디렉토리에서 홈으로 이동할떄 #cd ~)
│ │
└ 워킹
□ 폴더 생성
mkdir -p
□ 파일 찾기
ls - a (모든 파일 보기)
□ 파일 복사하기
cp a b
: a(파일) : 특정명령 없을시 파일, 특정 명령이없을시 파일이 될수 있고 폴더가 될수 있다.
□ 파일 지울때
rm a 하면 지울것인가 메시지가 나옴
rm -f a 하면 강제로 삭제
rm -rf * 폴더 안에 모든 파일이 삭제됨
아니면 루트 디렉토리에서 vi .bashrc 실행하면 rm -i 가 있는데 -i를 -f로 고치면 메시지가 안나오고
강제로 삭제 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◆ minicom 환경설정시 맨처음에 설정해야 하는것 .
1. 전송률 bps 맞춰주어야 함.
2. 포트 설정 (COM1, USB0 ...)
호스트 (서버)-리눅스 target(클라이언트)-EMPOSⅡ
- 프로그램을 컴파일 한다. - 컴파일한 파일을 실행
: target의 cpu 맞게 컴파일러 함
□ 서버와 클라이언트 끼리 연결하기 위한 방법
1. 모뎀(Modem)
- Z-Modem
2. 이더넷
- FTP
- NFS
※ Z-Modem , FTP 사용시 문제점 : 사용하기가 번거롭다 .
NFS : 디렉토리를 공유 함.
◆ NFS 설정
□ Network 서버 방식에는 stardalone(httd, nfs,network 사용), inet(bootp, tftp 사용) 있으며, stardalone은
우리가 일상 사용하는 http프로토콜을 생각하면 된다. 메모리에 상주되어 있다는 점이다.
int방식은 대기자가 있어가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요청하면 그 요청한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한후
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방식이다.
□ 서버를 실행하기 윈한 명령어
# service xinetd restart (start, stop 등 명령어가 있다. ) - inet 실행
# service httpd " - httpd 실행
# service nfs " - nfs 실행
◆ Ethernet IP 변경하기
우리는 리눅스와 EMPOSⅡ와 연결하기 위해 다이렉트 방식으로 연결하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도메인은
같아야 접속이 가능하다.
-> 0.0.0.0 일때 0.0.0 => 도메인 마지막 .0 은 컴퓨터
□ 호스트 (서버) - 192.168.1.100 -리눅스
□ target(클라이언트) - 192.1681.200 - EMPOSⅡ
□ IP 할당하는 방법
1. netconfig : 하드에 씀 , 리부트하면 지워지지 않음
2. ifconfig : 메모리에 씀, 리부트하면 기본값으로 변경
# → host(리눅스) , $ → target(EMPOSⅡ)
□ 현재 리눅스 상태의 ip확인
터미널 열기 한후 → # ipconfig → 아이피 확인
□ ipconfig으로 아이피 변경하기
# ipconfig eth0 192.168.1.30
# ipconfig 으로 변경된 아이피 확인
□ netconfig 으로 아이피 변경하기
#netconfig → 네트워크 설정 → 아이피랑, 서브넷 마스크 할당, 나머지 기본게이트와 DNS 삭제
아이피 : 192.168.1.100 서브넷 마스크 : 255.255.255.0
- 다시 네트워크 재시작
#service network restart
◆ 공유 폴더 설정
□ 공유 폴더 정의
/etc/exports에 정의 해야함
#vi /etc/exports
키보드로 I키 누른다음
/mywork 192.168.1.* (rw.sync) 입력후 저장한후 나옴
192.168.1.* => 192.168.1의 도메인 모든 부분을 사용한다.는 의미
(rw.sync) => 접근 권한
□ 공유 폴더 만들기
#mkdir /mywork
◆ 방화벽 없애기
터미널 열기 → #setup → 시스템 서비스 → ip6tables, iptables 체크 해제 → 리부팅
□ 프로세스 죽이기 방법
- kill, reboot
□ 리눅스 재시작 및 종료
- #reboot
- #halt
리눅스를 재부팅한후
◆ NFS 서비스 시작
□ 시작하기
서비스를 시작 할려면 setup 명령으로 해서 서비스를 시작 할 수 있으나 부팅 속도가 느려질 수가 있으므로
다른 명령어 사용
#service nfs restart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◆ EMPOSⅡ 터미널 접속
□ 접속
#minicom → EMPOSⅡ 장비에서 리셋을 누르면 접속이 된다.
접속이 되면 $ 표시가 나온다 .
□ 서버에 공유한 폴더로 접속하기 (마운트하기)
$mount 192.168.1.100:/mywork /mnt 실행하면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 잘못 설정한 것이고 에러없이 바로
$표시가 나오면 정상임.
□ 서버가 살아 있나 검색 하기 위해
$ping 192.168.1.100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◆ 간단한 프로그램 실행
□ 서버
서버 터미널 창에서 공유 폴더 이동 #cd .. → # cd mywork 폴더 이동
#vi test.c 실행하여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한다음 저장한후 → 컴파일을 한다.
클라이언트 사양에 맞춰서 함. (cross 컴파일 )
#arm - linux-gcc -o sum test.c 실행
컴파일 한후 클라이언트 터미널 창 활성화 한후
□ 클라이언트
공유한 폴더로 이동
$cd.. → $cd mnt → $ls 한후 파일이 있나 확인 $./sum 실행하면 결과 값이 나온다.
by cheonvi